전체 글

· NAS
시놀로지 나스에서 도커를 활용해 VPN을 사용하는 토렌트 웹서버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과거 transmission-ovpn 도커 이미지를 썼었는데 이제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gluetun + deluge 조합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천천히 따라해봅시다. 준비물 1. 시놀로지 NAS2. 시놀로지 컨테이너 매니저 (도커) - 패키지 센터에서 설치3. VPN 계정 폴더생성docker 폴더에 총 3개의 폴더를 생성합니다./docker/deluge-gluetun-vpn-project/docker/gluetun/docker/deluge TUN 스크립트 설정VPN이 작동하려면 시놀로지에서 TUN 스크립트 설정을 해줘야합니다.    제어판을 켜고 작업 스케줄러에 들어갑니다. 생성 -> 트리거된 작업 -> 사용자 정의..
· NAS
시놀로지 나스에서 UID와 GID를 알아내는 방법입니다. 1. 링크(클릭) 해당 방법을 통해 나스에 SSH 접속을 합니다.  2. sudo -i 명령어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여야합니다. 3. 로그인 상태가 [접속한 DSM ID@나스 서버 이름]인 상태에서 'id'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4. UID와 GID를 알게 되었습니다. 이후에도 꾸준히 필요할 수 있으니 메모해둡니다.
· NAS
우선 시놀로지 NAS의 내부 사설망 IP를 확인합니다. 대개 192.168.x.x 입니다. 메모장 등에 기록해둡니다.  제어판 -> 터미널 및 SNMP -> 터미널 항목에서 SSH 서비스 활성화를 켜주고 포트를 설정합니다. 포트는 가능하면 복잡한 숫자가 좋습니다. 포트 번호는 0~65,535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포트 번호도 기록해둡니다.  이제 윈도우에서 powershell을 검색해 실행합니다. ssh DSM아이디@DSM내부아이피 -p 설정한 포트 번호 앞서 획득한 내부 ip와 포트 번호를 가지고 위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최초접속시 fingerprint 관련 질문이 나오면 yes를 입력하고 넘어가면 ssh 접속이 완료됩니다. sudo -i 접속 후에 위 명령어를 입력하고 ..
· NAS
+ 24.07.20 추가, 아래 세팅으로 스트리밍을 할 경우 프레임 드랍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원인은 1. 시놀로지 나스에 오븐미디어엔진 도커 이미지를 깔고 PC->나스->외부로 영상을 송출하는 과정에서 오버헤드 현상이 발생. 2. Radium 도커 이미지에 내장된 오븐플레이어가 과거 버전인 탓. 두 가지로 추측됩니다. 현재 저는 프레임 드랍 현상을 해결했습니다. 오븐미디어엔진 컨테이너와 최신 오븐플레이어가 있는 NGINX 웹서버 컨테이너, 두 컨테이너를 윈도우 PC에서 직접 동작하도록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놀로지 나스는 단지 역방향 프록시 서버로만 동작합니다. 위 해결 방법을 토대로 아래 가이드를 수정할 예정입니다.  '폐쇄적인 환경'에서 'OBS를 활용해' '저지연', '고화질'로 내 P..
· NAS
+ 23.12.25 추가  DSM이 7.2로 업데이트 되고 도커가 컨테이너 매니저로 변경되었습니다. DSM 컨테이너 매니저 내에서 docker-compose 파일 실행이 가능해지는 등... 여러 환경이 바뀌었습니다. 이에 더해 포스팅한지 시간도 꽤 지난터라 아래 방식을 따라하셔도 정상적으로 실행될 거라는 보장을 못하겠습니다.  지금 환경에 맞게 수정을 해야겠다 싶은데 도통 시간이 안 나네요. 현재 제 시놀로지에 gluetun + qBittorrent 조합도 설정해놓은 상태라 그것도 소개해드리고 싶은데 가능하면 꼭 포스팅하겠습니다. (트랜스미션보다 큐빗토렌트가 더 무겁기는 합니다.) + 24.07.19 추가 gluetun + deluge 조합으로 VPN을 사용해 토렌트 웹서버를 구동하는 가이드를 새로 작성..
· NAS
시놀로지에서는 설정을 통해 역방향 프록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HSTS(HTTP 연결을 강제로 HTTPS 연결로 바꾸는 기능)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오작동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에게 발생한 사례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내부 주소에다가 [https://transmission.domain.synology.me]로 역방향 프록시를 설정하고 [https://transmission.domain.synology.me]로 접속하면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http://transmission.domain.synology.me]로 접속하면 [http://transmission.domain.synology.me:DSM HTTP 포트 번호]로 리다이렉트 되어버립니다. 만약 설정>로그인 포털>DSM에서 HST..
· NAS
나스에 transmission-ovpn을 설치한 뒤에 도메인:9091 주소로 접속하면 웹서버 접속이 http 연결로 이루어집니다. 크롬 같은 웹브라우저에서도 로그인 창에서 '이 사이트로의 연결은 비공개가 아닙니다.'라는 경고 문구를 띄웁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웹서버 연결을 https로 바꿔봅시다. 사용 중인 도메인이 이미 Let's encrypt 등을 통해 SSL 인증서를 발급받아 https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전제 하에 글을 씁니다. 만약 발급받지 않으셨다면 '시놀로지 NAS Let's Encrypt 인증서 발급' 같은 키워드를 구글에 검색하셔서 SSL 인증서를 발급받으시길 바랍니다. DSM 7을 기준으로 DSM 페이지 -> 제어판 -> 로그인 포털 -> 고급 -> 역방향 프록시를 눌러줍..
· NAS
시놀로지 나스에서 도커를 활용해 transmission-openvpn를 사용하던 와중 어느날 갑자기 정상적인 실행이 되지 않았습니다. 로그를 확인해보니 컨테이너를 시작하자마자 'initial DNS resolution test failed' 라는 문구를 출력하고 있었습니다. 실행 후 로그에 기록된 전체 에러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더보기 2022-12-20T04:01:28.434730942Z stdout 2022-12-20 04:01:28 SIGTERM[soft,init_instance] received, process exiting 2022-12-20T04:01:28.434631143Z stdout 2022-12-20 04:01:28 Could not determine IPv4/IPv6 protoc..
thorp
thorp